팁이라고 하기는 너무 거창하고… 현재의 내 상태를 기록해 두는 뜻으로 포스팅을 해 봅니다. 워드프레스를 개발할 때 즐겨 사용하는 세팅을 기록합니다. 고도로 숙련된 세팅이라고 할 수는 없으니, 저 아닌 다른 분들은 “아, 얘는 이런 식으로 쓰는 구나” 하고 참고만 해 두셨으면 합니다.
기본 환경
OS
OS는 리눅스 민트를 사용합니다. 리눅스 중에서는 가장 대중적이고, 무탈하고 쓰기 편합니다. 여러 리눅스 OS를 거쳐가며 삽질을 해 봤지만, 초기 부팅 및 설치 후 사용성까지 생각하면 민트를 따라잡을 OS는 없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윈도우 10이 리눅스 서브시스템을 지원하고, 윈도우에서 apt나 bash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많이 변화하기는 했지만, 아직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는 단계는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윈도우는 게임을 할 때 사용하는 OS로 굳어져 있습니다.
물론 맥OS도 좋은 개발 환경을 제공합니다만, 리눅스를 택하는 이유는 강력한 패키지 매니저 때문이죠. apt로 엄청나게 빠르고 편하게 패키지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개발 환경은 이렇게 무난하게 꾸미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
옵션: Vagrant
한때는 vagrant를 활용해서 개발 환경 세팅은 모두 vagrant를 활용한 가상 OS에 밀어 넣은 적이 있었습니다. 이것은 이것대로 엄청난 장점이 있죠. Provision 스크립트를 미리 만들어 둔 덕에, 초기 개발 환경 세팅이 단 2~3분안에 뚝딱 끝나는데다, 항상 균일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은 엄청나게 매력적이었습니다. 이 때는 가상 OS로 우분투 서버를 사용했습니다. 소스 코드, 웹브라우저, IDE는 호스트에 놓이고, 개발 환경만 게스트에 놓이도록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장점에는 단점도 있는 법. 개인적인 개발을 할 때는 조금 불편한 면이 종종 있었습니다. 호스트와 게스트는 별도의 OS라, 제대로 IDE에서 디버깅을 하기 위해서는 두 OS간 프로젝트의 경로 매핑이 필요합니다. 플러그인을 새로 제작할 때마다 경로 매핑을 하는 거나, 호스트와 게스트의 경로를 각각 숙지해야 하는 점은 좀 짜증나더군요.
개인적으로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개발을 위해서 이렇게까지 vagrant 까지 도입해야할 필요성은 좀 없지 않나 하여 이제는 쓰지 않습니다.
개발 스택
Apache 2.4, PHP, MySQL을 사용합니다. 세 콤포넌트 모두 패키지 관리자의 기본 환경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개발 환경에서 그렇게 세세하게 세팅을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nginx나 mariadb는 그렇게 고려하지 않고 씁니다. 가상호스트 설정 등등에서 apache가 세팅하기 수월하며, debian 설치 관리자 apt에서는 mysql-server 패키지를 설치할 때가 mariadb-server 패키지를 설치할 때보다 훨씬 간결하게 설치가 끝납니다. phpmyadmin 또한 설치 명령어 한 방에 끝납니다.
참고로 우분투 14.04에서는 PHP 5.6이 기본이지만 16.04에 와서 PHP 7.0이 기본입니다. 원한다면 리포지터리를 추가해서 가장 최신의 PHP 버전을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소스 컴파일 설치는 별로 선호하지 않습니다.
IDE
에디터로 Atom이나 Sublime Text도 선호되고 있지만, 저는 IDE는 PhpStorm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몇 년째 사용 중인 훌륭한 IDE입니다. 제게는 다른 대안이 없습니다.
워드프레스를 위한 레이아웃
플러그인을 몇 번 제작해 보니 경로를 조직적으로 구성하는 편이 효율적으로 보였습니다. 그래서 머리를 굴려 나름 레이아웃을 구상해 보았습니다.
기본적인 경로는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php, .dist 확장자를 제외한 항목은 모두 디렉토리입니다.
. ├── apache2 ├── bin ├── db-conf.php ├── db-conf.php.dist ├── niu-plugins ├── plugins ├── scripts ├── wp-config.php ├── wp-core └── wp-settings
apache2 디렉토리
각 워드프레스 환경은 아파치의 가상호스트로 구분합니다. 각 호스트는 apache2 디렉토리 안에 .conf 파일을 두어 설정합니다. 이 설청 파일을, /etc/apache2/sites-available에 심볼릭 링크를 걸고, a2ensite로 활성화 시켜 줍니다. 아래 코드는 예입니다.
ln -s ./apache2/wordpress-vhosts.conf /etc/apache2/site-available sudo a2ensite wordpress-vhosts.conf
이렇게 하면 본래 wordpress-vhosts.conf는 내 계정 소유의 파일이기 때문에 일일이 관리자 권한 없이도 편집이 가능하죠.
아파치 가상호스트 설정
wordpress-vhosts.conf 파일은 비교적 단순하게 구성하면 됩니다. 예입니다.
Alias /plugins <path-to-root>/plugins <Directory "<path-to-root>"> Require all granted Options +FollowSymlinks -Indexes AllowOverride All php_admin_value open_basedir "<path-to-root>" </Directory> ##################################################################### <VirtualHost *:80> ServerAdmin <email> DocumentRoot <path-to-root>/wp-core/4.7.1 ServerName wp.4.7.1 ServerAlias wp.latest ErrorLog ${APACHE_LOG_DIR}/wp.4.7-error.log CustomLog ${APACHE_LOG_DIR}/wp.4.7-access.log combined </VirtualHost> ##################################################################### <VirtualHost *:80> ServerAdmin <email> DocumentRoot <path-to-root>/wp-core/4.6.2 ServerName wp.4.6.2 ErrorLog ${APACHE_LOG_DIR}/wp.4.6.2-error.log CustomLog ${APACHE_LOG_DIR}/wp.4.6.2-access.log combined </VirtualHost> # vim: syntax=apache ts=4 sw=4 sts=4 sr noet
이후 다시 설명하겠지만, 위 코드는 워드프레스를 버전별로 수동 관리하는 케이스입니다. 각 버전별로 “http://wp.<버전 번호>/” URL로 접근하도록 처리했습니다.
bin 디렉토리
wp-cli와 phpunit 같은 바이너리 파일을 여기에 두었습니다. wp-cli는 사용할 때마다 헷갈립니다만, 가끔씩 워드프레스 동작을 스크립트화 해 두기에는 좋을 겁니다.
niu-plugins 디렉토리
디렉토리 중 mu-plugin (must-use plugin)이라고 해서, 항상 사용하는 플러그인을 넣어 두는 곳이 있습니다. 그걸 따서 niu-plugin (not-in-use plugin) 디렉토리를 별도로 만들었습니다. 큰 의미는 없고 잠시 사용하지 않을 플러그인을 이 쪽에 놓아 둘 목적으로 만든 것입니다. 활성/비활성 차원이 아니라 아예 존재를 이 쪽으로 옮겨 두는 거죠.
plugins 디렉토리
플러그인만 이 곳에 놓아둡니다. 모든 워드프레스 개발 사이트는 이 플러그인을 공유합니다. 활성/비활성으로 적절히 조절하면 되니까 이렇게 몽땅 놔두는 것도 큰 문제가 없습니다.
scripts 디렉토리
wp-cli를 위한 bash-completion 스크립트나 유용한 쉘 스크립트들을 저장하기 위한 디렉토리입니다.
wp-core 디렉토리
워드프레스의 코어가 여기 있습니다. 코어를 관리하는 방법은 크케 나눠 두 가지가 있습니다.
- 1벌의 코어를 직접 디렉토리 아래에 두고, 워드프레스에서 코어 업데이트가 발표되면 같이 따라간다.
- 버전별로 코어를 관리. 업데이트는 막되, 버전별로 하위 디렉토리에 위치.
코어 버전이 업데이트될 때 종종 데이터베이스도 업데이트됩니다. 큰 변화는 별로 없지만, 그래도 테이블이 한 번 업데이트되면 되돌리기 어렵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예전에는 단순한 까닭에 1번 방식을 썼는데, 버전별 차이에도 좀 대응하고 싶어 이제는 손이 좀 더 가더라도 2번을 쓰려고 합니다.
wp-settings 디렉토리
도메인별 워드프레스 설정을 놓아두는 디렉토리입니다.
워드프레스 설정
wp-config.php 파일은 워드프레스 코어에 있어도 되지만, 보안상 코어 하나 위 디렉토리에 두어도 무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여러 사이트가 특별히 각자의 세팅을 가질 필요 또한 크지 않으므로 wp-core의 상위 디렉토리에 wp-config.php 파일을 위치시켰습니다.
만약 버전별로 코어를 관리하는 경우, wp-core 하위에 각 버전별 코어가 위치하므로 wp-congif.php가 1계층이 아닌 2계층 차이가 납니다. 이 때에는 wp-core 디렉토리에 wp-config.php의 심볼릭 링크를 설정해 주면 됩니다.
도메인과 세팅 경로
서버 도메인인 $server_name 변수와 세팅 디렉토리를 얻는 코드를 둡니다.
$server_name = $_SERVER['SERVER_NAME']; $setting_path = __DIR__ . "/wp-settings/{$server_name}.php";
플러그인 경로와 URL
설정 파일에서 중요한 것은 공통의 플러그인 경로를 지정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플러그인 설정을 넣습니다.
define('WP_PLUGIN_DIR', __DIR__ . '/plugins'); define('WP_PLUGIN_URL', "http://{$server_name}/plugins");
디버깅 환경 설정
개발 환경이므로, 디버깅은 항상 켜 둡니다. 단, 디버깅 용 로그를 웹브라우저로 띄우면 화면이 매우 지저분해지므로 로그로만 볼 수 있도록 만듭니다. wp-content 디렉토리는 기본적으로는 각 코어별로 사용하도록 두었으므로 로그 파일은 각 <코어>/wp-content/debug.log가 됩니다. 스크립트 디버깅도 켜 둡니다.
define('WP_DEBUG', true); define('WP_DEBUG_LOG', true); define('WP_DEBUG_DISPLAY', false); define('SCRIPT_DEBUG', true);
기타
포스트 리비전이나 업데이트 관련 사항을 세팅해 두면 됩니다. 코어를 수동으로 관리한다면 자동 업데이트 항목도 꺼 두어야 할 것입니다.
define('WP_POST_REVISIONS', 0); define('AUTOMATIC_UPDATER_DISABLED', true); define('WP_AUTO_UPDATE_CORE', false );
이렇게 해도 워드프레스 코어를 업데이트하라는 알림이 관리자 화면에 출력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업데이트를 완전히 꺼 두는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이런 플러그인을 활용해 혹시 실수라도 업데이트를 진행하지 않도록 처리하면 좋겠죠.
도메인별 세팅
도메인별로 다른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관리할 수도 있고, 또 모든 도메인이 같은 테이블을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버전별로 워드프레스를 관리하려면 반드시 버전별로 다른 테이블을 사용해야 합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워드프레스 버전마다 데이터베이스 버전도 달라자기 때문입니다.
버전별로 워드프레스를 관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도메인 규칙을 만들었습니다.
wp.<워드프레스 버전>
그러므로 워드프레스 4.6.2 버전은 “http://wp.4.6.2/”, 4.7 버전은 “http://wp.4.7/”로 접속합니다.
물론 이렇게 하려면 /etc/hosts 파일에 해당 도메인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추가해야 합니다.
127.0.0.1 wp.latest wp4.7 wp.4.6.2 wp4.6.1
그리고 wp-settings/wp.4.6.2.php, wp-settings/wp.4.7.php 같은 도메인 이름과 같은 php 파일을 두고, 그 안에 도메인별 설정을 넣으면 됩니다.
코어 하나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비슷합니다. /etc/hosts 파일 안에 각 도메인에 IP를 127.0.0.1로 대응시키고, wp-settings/<domain>.php 파일을 만들면 됩니다.
설정 파일에는 최소 하나의 변수가 있어야 합니다. 아래는 그 예입니다.
<?php $table_prefix = 'wp471_';
마치며
위 설명한 구조는 제 github repository에 있습니다. 손은 좀 가지만 그리 어려운 것은 아니므로 다운로드 받아서 한 두번 살펴보면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 곳에 우분투 16.04 서버를 위해 만든 provision 스크립트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APM 설치 및 세팅에 알찬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테마는 제가 잘 다루지 않으므로 이 레이아웃이 테마까지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만, plugins 디렉토리를 응용해 테마 디렉토리를 별도로 관리한다면 플러그인과 큰 차이는 없을 것이라 생각해 봅니다.
좋은글 잘 봤습니다.
창우씨의 상태를 기록하는 글이라지만…
언제가 저를 위한 글이라고 생각하며 북마크해 둡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