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이전 블로그

태터툴즈, 블로거닷컴, VCL WordPress 등지에서 내보낸 블로그 글들.

  • 네이트 시맨틱 – 헝그리 잭(스) : 시멘틱 이전에 검색의 질을 높여야 하지 않을까?

    네이트 시맨틱 – 헝그리 잭(스) : 시멘틱 이전에 검색의 질을 높여야 하지 않을까?

    버거킹에서 햄버거를 먹는데 트레이에 깔린 종이에서 이런 것을 보았다.
    왜, 시드니에서는 버거킹이 헝그리 잭?
    – 호주는 왕을 섬기는 나라, 왕이 둘이 될 수 없기 때문에?
    – 굶어 죽은 시드니의 영웅 ‘잭’을 기억하기 위해서?
    궁금하면 시멘틱 검색 해 보세요.
    궁금했다. ‘왕’ 때문일까, ‘영웅’ 때문일까?
    집에서 네이트로 접속해 검색을 해 보고 나서 나는 아연실색했다.
    첫째로  ‘헝그리 잭’ 이 아니라 ‘헝그리 잭스’ 란 점이다.
    헝그리 잭의 영문 표기는 Hungry Jack’s 이이다. 그러므로 잭 보다는 잭스라고 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
    둘째, 왕 vs 영웅 구도로 몰아가면 왠지 볼만해서였나? 정답은 둘 다 아니라는 점이다.
    시멘틱 검색을 해 본 결과가 이따위다.
    ‘헝그리 잭’이나 ‘hungry jack’ 이나 검색 결과가 거기서 거기다. 정답을 적은 네이버 블로그의 한 분을 제외하거는 전부 다 틀린 답을 적고 있다. 그나마 그 정답이란 것도 정답이란 근거가 없어 결국 어떤 것이 정답인지는 검색으로 알 수가 없다.
    그럼 구글의 검색 결과를 볼까?
    구글에서 ‘헝그리 잭’을 검색하면 ‘호주에는 왜 버거킹이 아니라 헝그래잭일까?‘라는 블로그로 연결이 된다. 여기서 말하는 것이 정답이며, 위키피디아의 영문을 친절히 한국어로 번역해 주셨다.
    뭔가 좀 이상하다는 생각을 멈출 수 없었다. ‘시맨틱’ 하기 이전에 정보의 질부터 먼저 확인해야 하지 않을까? 굳이 시맨틱을 들먹이지 않아도 국내에 유명한 네이버, 다음, 야후 들도 ‘헝그리 잭’이라고 치면 그 나물에 그 밥 뿐인 정보 밖에 찾을 수가 없다.
    그럼 헝그리 잭을 영어로 치면 어떻게 될까? 이 포스트를 보시는 분들은 조금 귀찮으시겠지만 직접 해 보기를 바란다. 국내 검색 엔진들은 별로 말할 것도 없다. 구글에서는 어떻게 나오나?
    아마도 구글에서는 제일 처음으로 헝그리 잭스의 홈페이지가 나올 것이다. 그리고 세 번째, 네 번째 쯤 검색되는 결과가 위키피디아의 헝그리 잭스 내용이다. 이 위키피디아에 들어가면 놀라게 된다. 왜 위키
  • 12월 22일 작업일지

    엄청나게 많이 한 일은 없다. 연하장을 쓰고 OpenSceneGraph 예제 하나를 돌려보았다.

    토익 L/C 문제를 하나 풀어 봐았다. 점점 늘어가는 오답 횟수.

    노트북에서 링킹 에러가 났는데, 디버그 모드에 디버그 lib 파일을 정해줘야 하는데 그렇게 안 해서 에러가 난 듯하다.

    집에 와서 OpenSceneGraph의 레퍼런스를 PDF로 작성하려다가 LaTex에 손을 대야 했다.
    결국 오늘도 세 시 취침인가…

    [내일 Plan]
    연하장을 더 사서 보내자. 작성된 연하장은 주소를 물어 보내도록 하자.
    오후 4시 30분에 팀과 미팅이 있을 예정이니 늦지 않도록 하자.
    햄버거 먹고 싶다…

  • 마인크래프트를 시작하다.

    마인크래프트?
    그래픽은 구리다고 하지만 게임 스타일이 딱 내 스타일인 것 같아 설 연휴동안 알파 버전을 해 보았다.

    결국…

  • Mediawiki 다시 살려내기

    미디어 위키는 자료를 체계적으로 보관하기 좋고,
    블로그는 자료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서 좋다.

    이번에 너무 성급히 젠투 서버를 밀어버리는 바람에 위키를 다시 살리느라 고생을 좀 했는데
    실제로 해본 경험을 적어두도록 한다. 위키를 살려내는 과정을 위키에 적을 수는 없지 않나…

  •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R 치트 시트

    치트 엔진을 이용해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R의 치트 시트를 완성했다. 게임 내 주요 캐릭터 능력치, 아이템 등의 내용을 다 담아 두었다.

    치트 시트 다운로드

    그리고 각 능력치는 4바이트 정수로 기록되는데, 한 캐릭터의 최대 체력을 저장하는 주소로부터 다음과 같은 규칙이 발견되었다. 최대 체력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바이트 오프셋만큼 능력치가 기록된다.

    그리고 속성과 현재 체력 사이에 많은 바이트가 비는데, 이 곳에 각 캐릭터가 구사할 수 있는 마법 목록이 저장되는 것으로 확인했다. 그러나 더 이상의 정보는 아직 알아내지 못했다.

    최대 체력0
    최대 마력4
    공격력8
    방어력12
    민첩성16
    이동20
    기술24
    레벨80
    속성332
    현재 체력1320
    현재 마력1324
    종족/직업1328
    경험치1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