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나!
뭐 이렇게 잘 짜여진 웹 기반의 저작 도구가 있을까? 놀라울 지경이다.
이제는 컨텐츠에 주목해야 하지 않을까?
태터툴즈, 블로거닷컴, VCL WordPress 등지에서 내보낸 블로그 글들.
세상에나!
뭐 이렇게 잘 짜여진 웹 기반의 저작 도구가 있을까? 놀라울 지경이다.
이제는 컨텐츠에 주목해야 하지 않을까?
환경 변수 세팅하다가 짜증이 나서 편하게 해 주는 툴이 없을까 하다가, 우연히 Rapid Environment Editor라는 툴을 찾게 되었다.
한편 이 프로그램은 지역화를 각 언어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를 원했다.
중국어, 일본어도 있는데 우리 한글이 없는 것이 안타까웠다. 한글이 제공되면 좀 더 많은 한국 사람들이 이 프로그램을 알지 않을까? 주말에 약간 시간을 들여 작업했고 제작자에게 이메일을 보냈다. 아주 고맙게도 제작자는 내 언어 번역을 자신의 다음 버전에 넣겠다고 답장을 주었고, …
정말 홈페이지에 Korean이 올라왔다. 100% 번역이다. 하하.
업데이트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뜬다. 진짜 내 이름이 나오네!
깔끔하게 한글로 나오는 프로그램. 번역이 아주 훌륭한 편은 아니지만 아마 알아볼 수 있을 정도는 될 것이다.
결과물을 보니 오히려 내가 제작자에게 고맙다.
마인크래프트 공식 홈페이지 서버 리스트에 있는 “World of Minecraft” 서버에 접속해 보았다.
웹브라우저에서만 실행 가능한 듯.
들어간 순간 할 말을 잃었다.
취향대로 만든 건물들은 외관은 물론 디테일도 상당했다. 스크린샷으로 찍지는 못했지만 동양식으로 쌓은 탑도 있었는데 컬쳐쇼크를 느낄 정도였다.
뭐 이런 높이에서 이런 작업을 하다니, 잉여 짓도 이 정도면 거의 아트 급.
마지막으로 아주 높은 건물에 올라가 찍어 본 전경.
밤이 없고 몹도 없고, 그냥 모든 블럭이 무한히 주어지는데다 플레이어는 죽지 않으니 뭔가 좀 부자연스러운 듯. 결국 이렇게 지어서 무얼 하겠다는 건지? 좀 아니다 싶기도 하고…
....apr-utillibdaprutil-1.lib
....apr-utilxmlexpatliblibdxml.lib
....aprlibdapr-1.lib
Release 빌드의 경우 libd에서 libr로 변경하면 된다.
이 글이 다른 이들게 도움이 되었는지 모르겠다. 귀찮으신 분들(나를 포함한)을 위해 바이너리를 올려두도록 하겠다.
미디어 위키는 자료를 체계적으로 보관하기 좋고,
블로그는 자료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서 좋다.
이번에 너무 성급히 젠투 서버를 밀어버리는 바람에 위키를 다시 살리느라 고생을 좀 했는데
실제로 해본 경험을 적어두도록 한다. 위키를 살려내는 과정을 위키에 적을 수는 없지 않나…
연구실 NAS에 2010년 12월 25일까지 백업을 시켜 두었다.
이것을 받아 미디어위키에서 위키를 받는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를 복구한다.
위키로 가면 위키를 설치하라는 말이 나오는데, 일단 위키는 설치 메뉴를 이용해 설치하도록 한다. 기존의 위키 옵션과 동일하게 하자. 위키 이름은 Nambaxawiki이다.
위키를 복구하면 데이터베이스가 있기 때문에 어떻게든 화면이 나온다. 기존의 LocalSettings.php 파일을 교체한 후 위키가 생성한 LocalSettings.php 파일을 참고하면서 일단 돌아가도록 세팅을 변경하자.
그리고 처음에는 apache의 rewrite 가 되지 않기 때문에 항상 index.php를 붙여 주어야 한다.
이것을 고치려면
$wgArticlePath = “$wgScriptPath/$1”;
$wgUsePathInfo = true;
위키 디렉토리에 .htaccess를 생성한다.
RewriteEngine On
RewriteCond %{REQUEST_FILENAME} !-f
RewriteCond %{REQUEST_FILENAME} !-d
RewriteRule ^(.*)$ index.php/$1 [PT,L,QSA]
문제가되는 extension은 주석 처리하면 이렇게 하면 어떻게든 위키가 살아난다.
GeSHi가 Waning을 뱉어내는데, 이것은 php.ini의 display_errors = Off 로 하자.
나는 PHP로 개발할 거 아니니까..
현재 블로그는 설치형 블로그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http://nambaxa.wo.tc/tc/ 로 오면 똑같은 블로그가 있습니다.
요즘은 위키를 더 선호합니다.
http://wiki.nambaxa.wo.tc 입니다.
일단 VS2008에서의 답은 NO 입니다.
좀 생각해 보면 그럴 만도 하지..
컴파일 된 이후 오브젝트 코드에서 무슨 클래스와 멤버 변수, 함수 개념이 있나..
그냥 언어 단계에서 사람들이 작성할 때 필요한 규칙일 뿐인 것을.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iterator>
std::string getPath(std::string & fullpath);
int main(int argc, char **argv)
{
std::vector<std::string> arglist;
for(char ** v = argv+1; *v != NULL; ++v) {
std::cout << *v << std::endl;
arglist.push_back( getPath(std::string(*v)) );
}
std::copy(arglist.begin(), arglist.end(), std::ostream_iterator<std::string>(std::cout, “n”));
return EXIT_SUCCESS;
}
std::string getPath(std::string & fullpath)
{
for(std::string::iterator it = fullpath.begin();
it != fullpath.end();
++it)
{
if( *it == ‘\’ )
*it = ‘/’;
}
std::string::size_type pos_beg = fullpath.at(0) == ‘”‘ ? 1 : 0;
std::string::size_type pos_end = *fullpath.rbegin() == ‘/’ ? std::string::npos : fullpath.rfind(‘/’)+1;
return fullpath.substr(pos_beg, pos_e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