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작게 기록

대충대충 대강대강 써내려가는 글.

  • 2025.04 블로그 테마 업데이트

    그동인 2025 테마 사용을 망설이다가 블로그 테마를 업데이트하기로 했습니다. 블록 에디터의 비약적인 기능 향상으로 인해 웹사이트를 편집하는 것이 전혀 어렵다고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대단히 혁신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일본 뉴스 클립을 활용한 일본어 학습법

    요즘 취미 삼아 일본어 공부를 하고 있는데, 느낌대로 해 본 받아쓰기 요령을 기록한다.

    일본 홋카이도시의 지역 사건 사고를 알려주는 유튜브 방송을 자주 본다. 뉴스에 쓰이는 일본어는 발음도 좋고, 뉴스는 화면에 전달하는 내용을 적당히 요약해 자막으로 달아 주기 때문에 내용을 이해하기에도 좋다. 그리고 지역 뉴스라 그런지 시민들의 생활에 관련된 내용들을 짤막하게 전달하는 내용이 많아 분량상으로도 참 좋다.

    영상 수집

    우선 소스를 수집한다. 이 때 나는 ‘yt-dlp’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커맨드라인으로,

    yt-dlp --force-overwrite \
      -qo "$(date +%Y%m%d).%(ext)s" \
      'https://www.youtube.com/watch?v=d8CrKBU99Hg'Code language: JavaScript (javascript)

    이렇게 한다. 이 때 브라우저로 같이 라이브 방송을 시청한다. 그리고 원하는 분량만큼 녹화했다고 생각하면 중지하자. 이 때 영상이 녹화중인 것과 시청중인 것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적당히 여유를 두어 느긋이 영상을 끊어낸다.

    영상 편집

    수집한 영상 소스에서 내가 할 만한 클립을 적당히 골라낸다. 너무 어려운 주제나, 별로 관심가지 않는 주제, 너무 긴 토픽은 과감하게 제외한다. 많이도 필요 없다. 딱 한 개, 1분 내외로만 하자. 적당한 클립을 찾았다면 그곳의 시작지점과 끝지점의 시간을 기록한다. 그리고 그 구간만 잘라낸다.

    ffmpeg -i <input_video> --ss mm:ss --to mm:ss <output_video>Code language: HTML, XML (xml)

    예를 들어, input.mp4 파일의 03분 10초부터 04분 22초까지 잘라내 output.mp4 파일로 만든다면,

    ffmpeg -i input.mp4 --ss 03:10 --to 04:22 output.mp4Code language: CSS (css)

    이렇게 하면 원하는 뉴스 클립만 깔끔하게 잘라낼 수 있다.

    답안지 생성

    이제 받아쓰기를 준비한다. 아직 초심자이기 때문에, 무작정 듣기만 해서는 효율이 나지 않는다. 먼저 인공지능에게 뉴스를 내용을 들려주고 받아쓰기를 시킨다.

    약간의 요령이라면… 인공지능은 아나운서의 목소리에 조금만 지연이 생기면 듣기를 그만 두는 것 같다. 그러니 좀 불편해도 적당히 부분부분 잘라서 스크립트를 얻는다. 챗지피티를 유료로 쓰면 GPT-4o의 음성 대화를 더 쓸 수 있고 이게 좀 더 편하긴 하다.

    매일매일 챗 프롬프트를 새롭게 만드는 것이 좋다. 챗 프롬프트를 계속 재활용하면 지난날의 스크립트와 지금의 스크립트를 막 뒤섞는 일이 있어 불편하다. 안드로이드 폰 자체의 음성 기록 기능도 나름의 대안이 될 것이다. 아무튼 이 부분은 좀 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듣고 적기

    일단 그렇게 참고 자료를 만든 후, 동영상을 직접 듣고 직접 기록한다. 이 때 펜을 쓰지 않고 컴퓨터로 입력한다. 현재 실력으로는 한자까지 다 수기로 하기에는 너무 힘들다. 공부로서 성립되기 어렵다. 입력기의 자동 변환의 도움을 충분히 받아 최대한 소리를 들어 보고 적어 보는 연습을 해 본다. 지금은 정확히 발음을 캐치해서 히라가나로 정확히 적는 것도 어렵다.

    그저 무한히 반복해서 듣는다고 해서 될 일이 아닌 것 같다. 적당히 듣고, 들어지는 것은 적고, 아무래도 안 들리는 것은 무리하지 말고 빨리 정답지(에 최대한 가까운 것)를 보고 이해하는 것이 나은 것 같다.

    그래도 화면에 해당 뉴스의 내용을 요약한 자막이 뜨기 때문에 뉴스 내용에 중요한 한자 부분들은 참고할 수 있다. 힌트로 삼자. 모르긴 몰라도 듣고 히라가나로 적으면 입력기가 그 한자로 정확히 변환해 주고 있다는 것만 알아도 도움이 되는 것 같다.

    도저히 모르겠으면 인공지능이 생성한 스크립트도 이 때 참고한다. 애초에 생성한 스크립트를 한 번 확인한 다음 듣게 되어 있기도 하고. 이쯤하면 거의 정확한 텍스트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 더해 잘 모르는 것은 여기에 번역기까지 써 본다. 이래저리 한일, 일한 번역을 해 보면 어떤 한자인지, 어떤 발음인지 어지간해서는 알아낼 수 있다! 이렇게 짧더라도 꼼꼼하게 아나운서가 어떤 말을 했는지 눈으로 보면서 정확하기 인지해 본다. 그러면 진짜 들리는 내용이 다르다.

    정리

    이렇게 잘 이해가 되었다면, 학습한 내용을 구글 드라이브에 업로드한다. 이거 나름 고행(?)이라 매일 하기는 조금 부담스럽지만 한 번 해 보면 확실하게 느껴지는 것이 다르다. 요즘은 인공지능이 있어 모르는 것에 대한 부담이 확 줄어든 것이 정말 다르다.

    이 방법은 굳이 일본어에만 국한되지는 않을 것 같다. 어떤 언어든 요즘은 내가 관심만 기울이면, 그리고 AI가 지원하는 언어라면 큰 돈 들이지 않고 공부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사실 예전에 군대에서 Dido의 ‘Thank You’라는 노래의 가사를 직접 적어보려고 애쓴 적이 있다. 당시 군 내에서 어떻게 인터넷을 쓸 수 있었겠나? 그냥 무작정 들리는 대로 적어보려고 했지만 특정 부분은 미친 듯이 들리지 않더라. 정답지도 없고, CD 플레이어가 나름 구간 반복을 지원해도 불편하고, 그 때의 비효율성을 잘 기억하고 있다. 그에 비하면 지금은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발전되어 있다.

  • 리눅스 민트 22 마우스 커서 사라짐 문제 수정

    출처: 리눅스 민트 포럼

    리눅스 민트에서 지속적으로 마우스 커서가 사라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사라지는 마우스 커서는 “Win” 키를 눌러 다시 찾아내곤 하는데, 이게 자주 발생하니 매우 짜증이 난다. 커서가 사라져도 바로 나타나면 좋겠는데?

    포럼을 뒤져 보니 이렇게 하라고 한다. /usr/share/X11/xorg.conf.d/10-amdgpu.conf 파일을 열어 아래처럼 수정한다.

    Section "OutputClass"
    	Identifier "AMDgpu"
    	MatchDriver "amdgpu"
    	Driver "amdgpu"
    	Option "HotplugDriver" "amdgpu"
    	Option "SWCursor" "True" # 이 부분을 추가함.
    EndSectionCode language: PHP (php)

    추가: 그래도 가끔씩 커서가 사라진다. 추천된 다른 방법을 적용한다. /etc/X11/xorg.conf.d/20-amdgpu.conf에 아래와 같은 코드를 적는다. 위 코드는 원래대로 돌린다. 그리고 참조 사이트의 코드를 직접 복사, 붙여넣기 하지 마라. 아래 코드를 복사해라. 참조 사이트는 에러가 있다.

    Section "Device"
         Identifier "AMD"
         Driver "amdgpu"
         Option "SWCursor" "True"
    EndSectionCode language: JavaScript (javascript)

    이것도 딱히 별 효과를 못 보는 거 같은데… 리눅스는 아무튼 고통과 함께 참고 사는 법을 배워야 하는 것이 1번 덕목인 듯.

  • 워드프레스를 위한 게시판 제작

    워드프레스를 위한 가볍고 빠른, 그리고 심플한 게시판을 기획 중입니다. 이름부터 고민입니다. 그냥 손 가는대로 해볼까 합니다.

  • 목표: 도서출판

    도서 출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매주 목요일 디스코드에서 만남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젯브레인즈의 노예

    나는 JetBrains의 노예! 벌써 사용한지 10년이나 지났습니다. 7월 31일이 이번 구독의 마감일이고, 다시 갱신을 해야 합니다 … 미화 173달러로 연간 비용이 만만찮지만 그래도 안 쓸 수 없는 도구에요.

  • 싱크띵 슬라이드 제작

    Syncthing 이라는 동기화 프로그램을 팀원에게 알리기 위한 슬라이드를 제작했습니다. 옵시디언 같은 노트 앱과 연계하면 상당히 좋은 시너지를 냅니다.

  • 투두이스트 구독 고민

    매일매일 할일 기록 도구로 Todoist를 좋아하는데 다시 연간 구독을 해야 할까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 유튜브 프리미엄을 재구독하다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을 다시 시작했습니다. 유튜브 시청 시간이 만만치 않은데 비해 광고 스킵이 너무 버겁습니다. 그냥 꼼수 안부리고 한국 정가로 쓰고 있어요.

  • 2024년 건강검진 결과 업데이트

    어머니와 나 둘이 지난 6월 12일 수요일 같은 날 같은 병원에서 건강 검진을 받음. 둘다 갑상선 쪽에 뭔가 작은 혹이 발견됨.

    6월 19일 갑상선쪽 자세한 검진을 받음. 이 때 각각 조직 검사도 받음. 이 때까지만 해도 초음파 소견으로 어머니 쪽이 징후가 나빠 보이고 나는 괜찮아 보였다고 했음.

    오늘 조직 검사 결과 반전이 일어남. 모양과 다르게 내가 악성이 나오고 어머님은 이상세포만 나와서 대학 병원에서 정밀검사 재검해야 한다고.

    나는 갑상선유두암이라고 간단한 수술이 필요, 어머니는 추적관찰만 꾸준히 하라고 함.

  • Diodon 아이콘 중복 해결법 노트

    Diodon은 내 리눅스 데스크탑 환경에서 사용하는 클립보드 매니저이다. 클립보드의 내용을 관리할 수 있어 종종 활용되는 유용한 툴이다.

    그런데 이게 요즘 태스크바에 아이콘이 두 번 보이는 현상이 있어 고민하던 중 찾아본 것들을 여기에 노트해 둔다.

    가능성 #1: hidden=true

    이 방법은 정확하지 않다. 하지만 기록으로는 남겨둔다.

    우선 /usr/share/applications 디렉토리에 diodon.desktop 파일이 있는지 확인해 보자. [참고한 사이트]

    그리고 ~/.config/autostart 디렉토리에서 diodon-autostart.desktop 파일이 있는지도 확인해 보자.

    [Desktop Entry]
    Type=Application
    Version=1.0
    Name=Diodon
    GenericName[bg]=Мениджър на системния буфер
        ...번역...
    GenericName=Clipboard Manager
    Comment[ca]=Gestor del porta-retalls GTK+
    Comment[cs]=GTK+ Správce schránky
        ...번역...
    Comment=GTK+ Clipboard Manager
    Icon=diodon
    NotShowIn=KDE;
    Exec=diodon
    Terminal=false
    Categories=GTK;GNOME;Utility;
    StartupNotify=false
    MimeType=x-scheme-handler/clipboard;
    X-GNOME-Autostart-enabled=true
    Hidden=false

    위 내용처럼 나와 있을 것이다.

    이중 Hidden=true 가 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해 보자. 아마 중복 실행되는 이유는 위와 같은 diodon 자동 실행 파일이 2개 있어서이고, 그 중 하나는 설정 > 시작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보이지 않게 Hidden=true 로 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 적절히 중복된 2개를 해결하면 diodon은 한 개만 실행될 것이다.

    해결법 #2: 설정 변경

    랩탑 PC에서 우연히 해결한 방법이다.

    먼저 Diodon의 PPC를 따로 설정하고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한다.

    sudo add-apt-repository ppa:diodon-team/stable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y diodon

    그다음 설정 > 시작 애플리케이션으로 가서 Diodon의 실행시간을 0초에서 5초로 변경한 다음 저장한다.

    Diodon의 시작 애플리케이션에서 시작 지연시간을 5초로 설정
    시작 지연 시간을 설정

    참가로 아이콘이 2개가 보이는 거지 프로세스가 2번 실행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ps ax | grep diodon 하면 프로세스의 갯수는 1개이다.

  • M3U8 FFMPEG으로 덤프

    ffmpeg -i {URL} -c copy output.aac

    출처: Stackoverflow

  • wp-cli-secure-command

    워드프레스 보안 관련 사항을 지원하는 WP CLI 확장.

    https://github.com/igorhrcek/wp-cli-secure-command/

  • roche-php/core

    Roach is a complete web scraping toolkit for PHP. It is heavily inspired (read: a shameless clone) of the popular Scrapy package for Python.

    https://github.com/roach-php/core

  • 2022년 1월 31일 두데

    미니에 우연히 적은 사연이 나옴. 이 ‘남창우’는 내가 맞음.

  • 워드프레스 개발은 타협이 절반 #3 (마지막)

    지난 포스트에 이어 워드프레스 개발시 고려할 타협점을 마지막으로 짚어 본다.

    (더 보기…)
  • 이번 번역은 정말 아쉽다

    이번 워드프레스 한글 번역을 누가 했는지 물어보고 싶다.

    업데이트를 ‘업대이트’, 페이지를 ‘패이지’라고 한다.

    번역에서 % 서식 표시 미스로 인해 PHP 7.4이하에서는 경고, 8.0부터는 무려 에러를 낸다.

    PHP7.4에서는 경고가 발생한다.
    PHP8.0은 실행을 멈춘다.
    한국어 번역 부분에서 100%%로 적어야 하는데, 실수했다. sprintf 서식 문자열을 모르는 사람이 저지른 실수로 보인다.

    다만 ‘테마 디자인’을 ‘외관’으로 번역한 건 좀 맘에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