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이전 블로그

태터툴즈, 블로거닷컴, VCL WordPress 등지에서 내보낸 블로그 글들.

  • Sphinx 에 관한 설정

    PCL 컴파일 시 CMAKE의 항목 중

    SHPINX-EXECUTABLE 항목을 찾을 수 있다. 이는 python을 이용한 문서 제작을 위한 라이브러리이다. (홈페이지)

    설치는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1. http://pypi.python.org/pypi/Sphinx#downloads 에서 파이썬 버전에 맞는 egg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2. http://pypi.python.org/pypi/setuptools 에서 setuptools (ez_setup.py)를 받는다.
      그리고 이것을 콘솔에서 실행한다.
      >> python ez_setup.py
    3. easy_install.exe 파일이 파이썬 디렉토리의 Scripts 하위 디렉토리에 생성된다. 패스 걸어주고,
    4. egg 디렉토리로 가서 다음과 같이 실행하면 끝
      >> easy_install  Sphinx-1.1.2-py2.7.egg

    설치 후, CMake가 스크립트에서 Sphinx 위치를 알아낸다.

     

     

     

  • 학교 배경 달력

    필받아서 만들어버린 달력

    국민대학교 11월 1일
    학교 촬영

     

     

  • Branch and Bound algorithm

    PFH (Persistent Feature Histogram) 을 설명한 논문 “Aligning Point Cloud Views using Persistent Feature Histograms“에 의하면 feature의 alignment를 맟추기 위해 “Robust Global Registration”을 인용하였다.
    Robust Global Registration에 따르면 alignment는 ‘branch and bound’ 알고리즘을 사용하는데, 이는 텍스트 북이나 다음 링크에서 참고할 수 있다:

    알고리즘의 개략적인 내용은 값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tree 형태로 생각한다. BST로 각 트리의 노드를 방문할 때 어떤 경계값을 계산한다.  경계값이 현재 최선의 값보다 낫다면 더욱 나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그 노드의 자식 노드를 방문 대상에 포함시키며, 그렇지 않을 경우는 제외한다.

     

  • 보호된 글: Thunder-Light Rain

    이 콘텐츠는 비밀번호로 보호되어 있습니다. 이 콘텐츠를 보려면 아래에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 워드프레스에 감탄하다.

    세상에나!

    뭐 이렇게 잘 짜여진 웹 기반의  저작 도구가 있을까? 놀라울 지경이다.
    이제는 컨텐츠에 주목해야 하지 않을까?

  • 마인크래프트 잉여짓

    마인크래프트 잉여짓

     

    minecraft_018

     

    minecraft_019

     

    이제 나도 슬슬 잉여짓을 시작한다.
    Piehole-Pattern 텍스쳐에 파란 울, Glowstone을 두 겹으로 이름을 새겼다.
    이름 한 자의 사각 틀 사이즈는 12 * 10이다.

    포토샵에서 적당히 글씨 가져와 도트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