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dashicons

    워드프레스 대시보드(또는 어디서든)에서 사용되는 아이콘 모음이다. 웹사이트에서 간편히 전체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개발시 관리자 화면의 메뉴 아이콘을 꾸밀 때 특히 유용하다. 기본 아이콘인 톱니바퀴나 핀 말고 다양한 아이콘으로 만들어 보자.

    목록에서 원하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아이콘 이름, HTML 코드나 CSS 스타일이 적절히 출력된다. 커스텀 포스트나 메뉴를 삽입할 때는 아이콘 이름을 쓰고, 나머지 경우에서는 적당히 HTML 태그나 CSS 스타일 요소 등을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아래 커피 아이콘의 이름은 ‘dashicon-coffee’이다.

    이 아이콘을 커스텀 포스트의 메뉴 아이콘으로 쓰려면,

    <?php
    register_post_type(
        'foo_type',
        array(
            ....
            'menu_icon' => 'dashicons-coffee', // 이렇게!
        )
    );Code language: HTML, XML (xml)

    커스텀 페이지의 메뉴 아이콘으로 쓴다면,

    <?php
    add_menu_page(
        'Page Title',
        'Menu Title',
        'manage_options',
        'callback_function',
        'dashicons-coffee' // 이렇게!
    );Code language: HTML, XML (xml)

    이렇게 사용 가능하다.

  • wp_enqueue_script

    wp_enqueue_script() 함수는 직접적으로 HTML 코드에 스크립트를 조율해야 하는 과정을 없애준다. 스크립트간 의존성도 해결해주고, 캐시 문제도 해결해 준다. “JavaScript와 CSS를 삽입하는 과정을 명확히 알아두자.” 같은 긴 포스트를 작성하고는 싶지만, 글이 너무 길어지니 생략한다.

    그보다는 문서 중 여러 JS 라이브러리의 핸들을 문서화한 부분을 오늘 포스트의 키 포인트로 전달하고 싶다. 워드프레스가 사용한 여러 유용한 라이브러리를 재활용하는 측면에서 꽤 쓸만하다. 한번쯤 꼭 읽어보고 개발할 때 활용하도록 하자.

  • wp-config.php 설정 숙지하기

    wp-config.php 수정하기 문서.

    여기 내용들은 완전히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매우 잘 알아두어야 할 사항들이다. 어정쩡하게 알아두지 말고 한 번쯤 꼭 숙독해 두어야 한다.

    (더 보기…)
  • 플러그인 핸드북

    자 간단하게 시작하자, 그리고 꾸준하게 가 보자. 그러려면 하찮게 가자.

    (더 보기…)
  • front-page.php를 쓰지 말아야 할 이유

    얼마전 워드프레스 기반의 사이트 하나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워드프레스의 다양한 콘텐츠 기능을 활용하기 보다는 포스트의 아카이브/싱글에만 치우쳤고, 기존 테마들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요소들이 너무 많아 아예 밑바닥부터 테마를 만들기로 결정했다. 이런 사이트들은 기존 테마를 억지로 비틀어 맞추는 것보다 처음부터 테마를 만드는 것이 훨씬 만들기되 쉽고 결과물도 좋다.

    보통 대문 페이지, 워드프레스에서는 프론트 페이지라고 부르는데, 방문자들이 보통 주소만 치고 들어올 때 보게 되는 대표 페이지이자 사이트의 얼굴이기 때문에 가장 신경을 많이 쓰는 페이지라고 할 수 있겠다. 이 페이지를 어떻게 만들까 생각했었는데, 별 신경 안 쓰고 테마의 front-page.php를 활용해 제작하기로 결정했다.

    그런데 나중에 만들고 보니 그것은 썩 좋지 않은 결정이었던 것 같다. 이 포스트에서는 그것이 왜 실수인지, 왜 쓰지 말아야 하는지에 대해 적고자 한다. 이렇게 구구절절히 적었으니 테마 제작시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를 바란다.

    (더 보기…)